Missa pro defunctis 의 DIES IRAE 마지막 부분입니다 ...
Confutatis maledictis ..... 악인들을 쳐부수어 [參考-1]
flammis acribus addictis ..... 화염속에 던지시고
voca me cum benedictis ..... 저는 천국 부르소서.
When the wicked are confounded,
Doomed to flames of woe unbounded,
Call me, with Thy Saints surrounded.
악인들을 쳐부수어, 화염속에 던지시고, 저는 천국 부르소서.
악인들을 골라내어, 꺼지지 않는 불꽃으로 심판하실 때,
저를 부르시어 성인들 함께 둘러 싸소서.
악인들을 골라내어, 화염속에 던져질 때, 내게 축복 베푸소서.
Oro supplex et acclinis ..... 엎디어서 구하오니 [參考-2]
cor contritum quasi cinis ..... 재되도록 마음태워
gere curam mei finis ..... 저의 종말 돌보소서.
Low I kneel, with heart submission!
See, like ashes my contrition!
Help me in my last condition!
부복하여 간구하며, 저의 마음 부숴지니, 저의 종말 돌보소서.
제가 무릎꿇고 진심으로 복종하나이다,
재가 되도록 뉘우침을 보소서, 저의 종말을 돌보소서.
재되도록 마음태워, 엎디어서 구하오니, 나의 종말 돌보소서.
Lacrymosa dies illa ..... 그날은 눈물의 날 [參考-3]
qua resurget ex favilla ..... 먼지에서 일어나리.
judicandus homo reus ..... 심판받을 죄인들이
Ah! that day of tears and mourning,
From the dust of earth returning,
man for judgement must prepare him;
그날은 눈물의 날, 심판받을 죄인들이, 먼지에서 나오리라.
눈물과 슬픔의 그날이 오면, 땅의 먼지로부터 일어난,
심판받을 자들이 주님앞에 나아오리.
눈물겨운 그날 오면, 심판받을 죄인들이, 먼지에서 일어나리.
Huic ergo parce Deus ..... 주여 죄인 사하소서 [參考-4]
pie Jesu Domine ..... 인자하신 주 예수여
dona eis requiem amen ..... 그(들)에게 안식 주소서. 아멘.
Spare, O God, in mercy spare him!
Lord, all pitying, Jesu blest,
Grant them Thine eternal rest. Amen.
주여 죄인 사하소서. 인자하신 주 예수여, 그에게 안식 주소서. 아멘.
주님 자비로서 그들을 사하소서, 자비의 주님 예수여 축복하사,
그들에게 당신의 영원한 안식을 주소서. 아멘
주여 죄인 사하소서, 인자하신 우리 주여, 영원안식 주옵소서. 아멘.
註解
confuto -are : to confute, overthrow, repress, 논박하다, // confutatis : 이인칭복수현재형
maledictus -a -um : benedictus 의 반대말, 저주받은사람 // maledictis : 복수여격및탈격어형
flamma -ae [f] : flame, fire blaze, 화염 // flammis : 복수여격및탈격어형
acer -cris -cre : sharp, painful, 날카로운, 아픈 // acribus : 복수여격및탈격수식어형
addico -dicere -dixi -dictum : to assent to, assign, doom, 동의하다, 지정하다
addictus -a -um : doomed, (나쁜쪽으로)예정된 [addicere 의 과거(perfect)분사]
voco -are : to summon, call, invite, 부르다, 초대하다 // voca : 이인칭단수명령형
cum [prep + abl] : with // cum [접속사] : when, since, although
benedictis : benedictus(축복받은사람)의 복수여격및탈격어형
oro -are : to beg, ask for, pray, 빌다, 기도하다
supplex -plicis : kneeling, humbly entreating, suppliant, 무릎꿇고애원하는
acclinis -e : leaning on or against, inclined toward, 기대어, 앞으로 엎디어
cor cordis [n] : heart, mind, judgment, 심장, 마음
contritus -a -um : worn out, 닳아지다. [형용사]
quasi : as if, as it were, __처럼
cinis -eris [m] : ashes, ruin, death, 재(灰)
gero gerere, gessi, gestum : to carry, bear, 지니다
cura -ae [f] : care, concern, attention, 주의, 관심 // curam : (여성)단수목적격
finis -is [m] : end, limit, boundary, 끝 // mei finis : of my end [(남성)단수소유격]
lacrimosus -a -um : tearful, 눈물어린 // lacrimosa : (여성)단수주격및탈격수식어형
qua : by which way, where, [관계대명사 qui 의 여성단수탈격]
resurget : resurgo, resurgere (to rise again, 부활하다) 의 삼인칭단수미래형
ex favilla : from the dust, 먼지로부터
judico -are : to judge, examine, sentence, 심판(판결)하다
judicandus -a -um : judicare 의 수동형(passive)미래분사, 심판(판결)받게될
homo hominis [m] : human being, man, 인간
reus -i [m] & rea -ae [f] : a defendant, accused, (재판의)피고, 죄인
hui [감탄사] : exclamation of surprise // huic : 語尾변형 ??
ergo : therefore, accordingly, 그러므로
parce : parco, parcere (to spare, 용서하다)의 이인칭단수명령형
pie Jesu Domine : pius Jesus Dominus 의 호격(vocative case)어형
dono -are : to give as a present, grant, 주다, 베푸다 // dona : 이인칭단수명령형
requies requietis [f] : rest, repose, 安息 // requiem : (여성)단수목적격(accusative)
Nota Bene
[參考-1]
일곱번째 stanza 인 Quid sum miser tunc dicturus 부터 시작해서 열다섯번째까지의
모든 동사[일인칭동사 및 이인칭동사]는 전부 단수어형으로 처리되었음에 반하여
특별히 confutatis maledictis 句節에서만 主動詞가 이인칭복수어형으로 되어 있고,
그 다음에 나오는 voca me 귀절부터 끝까지 다시 이인칭단수어형으로 진행됨. 그 이유는
confutatis 의 단수어형은 cofutas, confutatis 의 音節(syllable)數는 네개, confutas 는 세개임.
더 중요한 사실은 이 詩歌는 아래에 보인것처럼 octametre 의 韻律(운율)로써 전개된다는 것.
Di_es__i_rae__di_es__il_la
sol_vet__saec_lum__in__fa_vil_la
tes_te__Da_vid__cum__Si_vyl_la
즉 매 귀절이 각기 여덟 음절(syllable)로써 구성되는데, 이를 octametre 로 분류함. 따라서
con_fu_ta_tis__ma_le_dic_tis 와 같이 韻律(운율) 때문에 네음절 어휘를 선택했을지도 ...
대충 直譯(word-to-word translation)하면
Confutatis maledictis ..... (당신께서는) ___ 저주받은 사람들을 억누르옵고.
flammis acribus addictis ..... 예비하신 따가운 화염으로써
voca me cum benedictis ..... 축복받은 사람들과 함께 저를 부르소서.
[參考-2]
Oro supplex et acclinis ..... (저는) 무릎꿇고 엎디어 비옵니다.
cor contritum quasi cinis ..... 마음은 재가 되도록 닳아 지쳐있아오니
gere curam mei finis ..... (당신께서) 제 마지막날의 돌보심을 베풀어주옵소서
[參考-3]
맨 첫부분과 마찬가지로 Lacrimosa dies illa 는 모두 여성주격(수식)어형임.
따라서 이를 받는 관계대명사 qua 또한 여성탈격(ablative)으로 어미변화된것.
[參考-4]
모두 19개의 stanza 로 구성돤 이 詩歌를 문장의 표현형식으로만 살펴보면,
첫번째부터 여섯번째 까지는, 삼인칭主語를 수반하며 밑그림을 그리는 도입부분이라고 치고,
일곱번째 stanza 에서, 주어 동사는 일인칭어형으로 바뀌고, 탄원 기도 형식으로 전개되어,
여덟번째부터 열일곱번째까지는, 모두 일인칭 즉 話者를 위한 기도이고, 主動詞는 모두 이인칭어형임.
[죽은이의 염원을 話者의 입을 빌어, 그들을 대신하여 話者가 올리는 기도로, 이부분을 해석하면 ??]
열여덟번째 stanza에서, 다시 첫번째 stanza 와 비슷한 형식의 밑그림이 잠시 나타났다가,
마지막 stanza 에서, 비로소 죽은이(제삼자)를 위한 기원를 올리면서, 전체가 마무리됩니다.
'Cogito ergo Su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톨릭성가 ... Alleluia alleluia (0) | 2008.04.21 |
---|---|
가톨릭성가 ... Alleluia (0) | 2008.04.14 |
videns DIES IRAE ... Preces meae non sunt dignae (0) | 2008.02.26 |
videns DIES IRAE ... Ingemisco (0) | 2008.02.19 |
videns DIES IRAE ... Recordare (0) | 2008.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