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이신 예수여 어서 빨리 내 맘에 오소서 ...
Veni Jesu amor mi ...
가톨릭성가 173번 사랑의 주여 오소서 노랫말입니다.
LATIN version 을 그대로 直譯하면 ... 오소서, 나의 사랑 예수님 !
[註解-1]
veni 에 관련된 어휘를 Latin dictionary 에서 찾아 보면
venio -ire veni ventum : to come ... 식으로 적혀 있는데, 여기서
venio 는 I come 또는 I am coming 을 의미하고, 문법적해석은 능동 직설법일인칭단수현재어형임.
venire 는 to come 으로서, 문법적해석은 능동 부정법현재(present active infinitive)어형임.
veni 는 I came 또는 I have come 을 뜻함. 능동 직설법일인칭단수과거(perfect) 어형임.
ventum 은 supine[verbal noun]이라고 불리는데, 初級過程羅典語學習者가 알아야 할 事項은 아닐듯.
그러나 모든 동사의 과거(perfect)분사 기본어형은 supine 에서 전개되고 있음을 유의할것. 이를테면
ventus[m] venta[f] ventum[n] 등이 venio -ire 의 과거분사(perfect participle)기본어형이 됨.
Latin 동사의 어형(어미)변화는, 불규칙동사 규칙동사 할것없이, 매우 복잡다양한 pattern으로 전개되는데,
사전에 실린 모든 동사의 위 네가지 기본어형은 그 동사의 어형(어미)변화 pattern 의 key-word 가 됨.
그런데 laudo -are 또는 amo -are 처럼 규칙(변화)동사인 경우에는 앞의 기본어형 두개만 辭典에 실림.
다음은 동사 venire 의 능동(active)직설법(indicative)현재(present)어형의 인칭변화에 따른 어미변화임.
[일인칭] venio ... I come 또는 I am coming // venimus ... we come 또는 we are coming
[이인칭] venis ... you(단수) come 또는 you are coming // venitis ... you(복수) come or are coming
[삼인칭] venit ... he[she] comes 또는 he[she] is coming // veniunt ... they come or are coming
그런데 위 노랫말의 veni 는 I have come 의미가 아니고, venire 의 이인칭단수명령형으로서 오라를 뜻함.
spelling 은 같으나 veni 母音發音의 차이가 있음. 즉 명령형의 e 는 短모음이고 perfect 의 e 는 長모음임.
Appendix veniat 은 능동 접속법삼인칭단수현재 어형으로 Let __ come 또는 May __ come 을 뜻함.
[註解-2]
위 노래의 amor 는 단수호격(vocative case)으로 분류됨. 격 변화에 따른 語尾변화는 아래와 같음.
amor ... (단수)주격 // amoris ... 소유격 // amori ... 여격 // amorem ... 목적격 // amore ... 탈격
amores ... (복수)주격 // amorum ... 소유격 // amoribus ... 여격&탈격 // amores ... 목적격
사전에는 ... amor -oris [m] : love (fond or passionate, unlike caritas) ... 로 적혀 있는데, 여기서
[m] 은 남성명사, -oris 는 amoris 를 줄여쓴것. 그 명사의 주격단수 및 소유격단수 어형을 함께 표기한것.
동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명사의 격변화에 따른 어미변화 pattern 은 위 두가지 어형으로써 풀이됨.
비슷한 어휘로 동사 amo (I love 또는 I am loving) amare (to love) 가 있는데, 다음의 어미변화 참조바람.
amo ... I love // amare ... to love // amavi ... I have loved // amatum ... loved or having been loved
[일인칭] amo ... I love 또는 I am loving // amamus ... we love 또는 we are loving
[이인칭] amas ... you(단수) love 또는 you are loving // amatis ... you(복수) love 또는 you are loving
[삼인칭] amat ... he[she] loves 또는 he[she] is loving // amant ... they love 또는 they are loving
Te amo et me non amas ..... I love you and you do not love me.
[註解-3]
Jesu 또한 호격(vocative case)임. 다음 예문에서 Jesus 의 어미변화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Et benedictus fructus ventris tui Jesus ... [Ave Maria]
* Quoniam tu solus sanctus. Tu solus Dominus. Tu solus altissimus, Jesu Christe ... [Gloria]
* Deus qui per resurrectionem Filii tui Domini nostri Jesu Christi ... [Regina caeli]
* Et in unum Dominum Jesum Christum, Filium Dei unigenitum ... [Credo]
* Et Jesum benedictum fructum ventris tui, nobis post hoc exsilium ostende ... [Salve Regina]
[註解-4]
사전에서 mi 를 바로 찾아보기는 쉽지않다. 사전에서는 meus -a -um 로 실린 어휘부터 찾아야 함.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amor mi (my love)는 amor meus [남성단수주격]의 호격(vocative)으로 설명됨.
meus -a -um [형용사]들이 수식하는 명사의 性(gender)에 따라 어미변화의 pattern이 달라지는데,
이를테면 위에서 남성명사로 분류되는 amor 를 meus 가 수식하는 경우에 語尾변화는 아래와 같음.
단수 복수 별로 [ 주격 // 소유격 // 여격 // 목적격 // 탈격 ] 순서임.
amor meus [단수] // amoris mei // amori meo // amorem meum // amore meo
amores mei [복수] // amorum meorum // amoribus meis // amores meos // amoribus meis
여성명사를 수식하는 경우에는 위와 다름. filia mea(my daughter) [여성단수주격]의 어미변화를 살펴보면,
filia mea [단수] // filiae meae // filiae meae // filiam meam // filia mea
filiae meae [복수] // filiarum mearum // filiis meis // filias meas // filiis meis
중성명사를 수식하는 경우에도 어미변화가 또 달라짐. opus meum(my work) [중성단수주격]의 경우.
opus meum [단수] // operis mei // operi meo // opus meum // opere meo
opera mea [복수] // operum meorum // operibus meis // opera mea // operibus meis
간단한 Latin 사전에는 ... meus -a -um : my, mine ... 정도로 적혀 있는데, 큰(?)사전을 뒤져보면,
남성단수의 경우, 일반적으로 mi 가 호격으로 사용되나, 詩歌에서는 meus 도 호격으로 쓰인다고 함. 그리고
meus -a -um 의 복수소유격에서, meorum mearum 대신에 (줄여서) meum 으로 쓰는 경우도 있다고 함.
아래 Appendix 에서 meus 의 어형(어미)변화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Appendix
구약성경 아가 4장 17절, 5장 1절 및 7장 12절 입니다.
et comedat fructum ..... and eat the fruit
Veni in hortum meum ..... I am come into my garden,
messui murram meam ..... I have gathered my myrrh,
Comedi favum ..... I have eaten the honeycomb
bibi vinum meum ..... I have drunk my wine
comedite amici et bibite ..... eat, O friends, and drink,
et inebriamini carissimi ..... and be inebriated, my dearly beloved.
Veni dilecte mi ..... Come, my beloved,
commoremur in villis ..... let us abide in the villages
오셔요, 나의 연인이여 우리 함께 들로 나가요. 시골에서 밤을 지내요.
오십시오, 우리 임 들녘으로 갑시다. 시골에서 밤이나 함께 드새 봅시다.
'Cogito ergo Su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톨릭성가 ... O bone Jesu (0) | 2008.07.21 |
---|---|
가톨릭성가 ... Sicut cervus (0) | 2008.07.08 |
가톨릭성가 ... Asperges me (0) | 2008.06.17 |
[스크랩] 노랫말 해설 ... Tollite hostias (0) | 2008.06.16 |
가톨릭성가 ... Vidi aquam (0) | 2008.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