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gito ergo Sum

videns TE DEUM ... Tu rex gloriae

MiCandy 2008. 10. 2. 20:23
지난번에 이어, 성암브로시오의 사은찬미가 TE DEUM 의 계속(세번째)입니다 ...
 
Tu rex gloriae, Christe.  .....   O Christ, you are the king of glory.   [參考-1]
Tu Patris sempiternus es Filius.  .....   You are the eternal son of the Father.

 

영광의 임금이신 그리스도님, 아버지의 영원하신 아드님,


Tu, ad liberandum suscepturus hominem,  .....  Undertaking to liberate humanity,  [參考-2]
non horruisti Virginis uterum.  .....  you did not dread the womb of the Virgin.

 

사람을 구원하시려 몸소 사람이 되시고자, 동정녀의 품을 마다하지 않으셨나이다.


Tu, devicto mortis aculeo,  .....  By overcoming the sting of death,    [參考-3] 
aperuisti credentibus  .....  you opened _____ to believers. 

regna caelorum.  .....  the kingdom of heaven

 

죽음의 가시를 쳐버리시고, 믿는 이들에게 천국을 열어주셨나이다.


Tu ad dexteram Dei sedes,  .....  You sit at the right hand of God,
in gloria Patris.  .....   in the glory of the Father.
Iudex crederis esse venturus.  .....   We believe you will come as judge.   [參考-4]

 

지금은 하느님의 오른편, 아버지의 영광 안에 계시며, 심판하러 오시리라 믿나이다.

 

註解

 

rex regis [m] : king, 임금

gloria gloriae[f] : glory, fame, 영광 // gloriae : (여성)단수소유격 etc

 

pater patris [m] : father 아버지 // filius patris : 아버지의 아들

sempiternus -a -um [adj] : everlasting, continual, 영원한

 

ad [prep + acc] : to, up to, near to

homo hominis [m] : human being, man, 사람 // hominem : (남성)단수목적격

 

libero -are : to free, liberate, 자유롭게하다, 해방시키다

liberandus -nda -ndum : liberare 의 수동형미래분사[gerundive]로서 verbal adjective 역할

ad + [gerundive] : ___하기 위하여 // ad liberandum : 구원하기 위하여

 

suscipio -cipere -cepi -ceptum : to take up, accept, undertake, 받아들이다

suscepturus -ura -urum : suscipere 의 능동형미래분사 ; going to undertake, 받으려하면서

 

horresco horrescere horrui : to become terrified at, dread, 매우 두려워하다

horruisti : horrescere 의 이인칭단수과거(perfect)형 // horrui : 일인칭단수과거형

 

virgo virginis [f] : virgin, maiden, 처녀, 동정녀

uterus -i [m] 또는 uterum -i [n] : womb, belly, 자궁

 

devinco -vincere -vici -victum : to conquer thoroughly, subdue, 정복하다

devictus -a -um : devincere 의 과거(perfect)분사 ; [adj] conquered, subdued, 정복당한

devicto : devictus -um 의 (남성및중성)단수(여격및)탈격

 

mors mortis [f] : death, 죽음, 주검

aculeus -i [m] : sting, sharp point, 가시, 괴로움 // aculeo : (남성)단수(여격및)탈격

aculeo mortis : 죽음의 가시로써 // devicto aculeo (mortis) : 정복당한 (죽음의) 가시로써  [參考-3]

 

aperio aperire aperui apertum : to expose to view, uncover, open, 열어보이다

aperuisti : aperire 의 직설법 이인칭단수과거(perfect)형

 

credo -ere -didi -ditum : to believe, trust, 믿다 // credens : 현재분사 ; 믿는(사람)

credentibus : credens 의 복수 여격(및탈격) ; 믿는사람들에게

crederis : credere 의 직설법 수동형(passive)이인칭단수현재형

 

regnum -i [n] : rule, authority, kingdom, 왕국 // regna : (중성)복수(주격및)목적격

caelum -i [n] : sky, heaven, 하늘 // caelorum : 복수소유격 [단수는중성,복수는남성명사임]

 

dexter -tra -trum [adj] : right (=on the right hand side) 오른쪽의

dextera -ae [f] : right hand // dexteram : (여성)단수목적격

ad dexteram : at right hand, 오른쪽에

 

sedeo -ere -sedi sessum : to sit, 앉다 // sedes : 직설법 이인칭단수현재형

iudex -dicis [m] : judge, juror, 심판관

 

venio -ire veni ventum : to come, 오다

venturus esse : venire 의 미래(future) 부정형(infinitive)

 

* 명사 격(case)변화에 따른 어미변화  [주격//소유격//여격//목적격//탈격]

 

[단수]   rex // regis // regi // regem // rege

[복수]   reges // regum // regibus //reges // regibus

 

[단수]   regnum // regni // regno // regnum // regno

[복수]   regna // regnorum // regnis // regna // regnis   

 

* 동사 sedere 의 능동 직설법 현재어형의 인칭변화에 따른 어미변화

 
[일인칭]   sedeo ... I sit or I am sitting // sedemus ... we sit or we are sitting
[이인칭]   sedes ... you(단수) sit or are sitting // sedetis ... you(복수) sit or are sitting
[삼인칭]   sedet ... he[she] sits or is sitting // sedent ... they sit or are sitting
 
 
Nota Bene
 
[參考-1]
- Latin 平敍文형식으로 語順을 정리하면, 위 英文對譯本의 直譯과 같음. 
 
  Christe, Tu rex gloriae es.
  Tu sempiternus Filius Patris es.
 
  그리스도님, 당신께서는 영광의 임금님이시고, 당신께서는 아버지의 영원하신 아드님이십니다. 
 
- 英語에 비하여, Latin 문장의 어순(語順)자체는 의미전달 과정에서 크게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나,
  어순이 바뀌는 경우, 바뀐 문장의 첫번째 어휘 또는 마지막에 오는 어휘는 강조의 늬앙스를 갖게됨.
 
[參考-2]
- 영어 동사는 현재분사 및 과거(past)분사, 두개의 분사(participle)만을 갖고 있음에 비하여
  일반적인 LATIN 타동사는 다음과 같이 네가지의 분사어형을 갖고 있다. 즉
  능동형분사로서 현재분사미래분사, 수동형분사로서 과거(perfect)분사 및 미래분사,  
 
- LATIN 語文法의 현재분사와 과거분사의 개념는 영문법의 분사 개념과 비슷함. 
 
- 미래분사의 구체적인 예로서, amo amare (to love) 의 미래분사 어형을 살펴보면
  [능동형]   amaturus -a -um ..... about to love, going to love
  [수동형]   amandus -a -um ..... must be loved, ought to be loved [verval adjective]
   vir amandus ..... A man to be loved, A man who ought to be loved, 사랑받아야 할 사람.
 
- 더 이상의 문법적인 解析은 [너무 어렵고 복잡하여] 보류합니다 ...
 
[參考-3]
- 이 句節을 LATIN 語文法의 탈격(ablative case) 의미를 살려 직역하자면, 위  註解 해석과 같이,
  당신께서는, 정복당한 죽음의 가시로써 ...   이를 우리말 어법에 맞게 다시 정리하면,
  당신께서는, 죽음의 가시를 정복함으로써 ... 
 
- 더하여 LATIN 語文法의 탈격은 어떤 수단(means)이나 방법(manner)를 나타내는데에도 쓰임.
  Litteras stilo scripsit  .....  He wrote the letter with a pencil.
  Id meis oculis vidi .....  I saw it with my eyes.
 
[參考-4]
- crederis 부분을 직역(literal meaning)으로 정리하면
  You are believed about to come to be Judge. or
  You are believed that you will come as Judge.

Appendix

 

The Book of Common Prayer [1928] 의 英文本도 함께 참조하시기바랍니다.

Most musical settings of the Morning Canticles in English will use this text.

 

Thou art the King of Glory: O Christ.
Thou art the everlasting Son: of the Father.


When thou tookest upon thee to deliver man:

 thou didst humble thyself to be born of a Virgin.

 

When thou hadst overcome the sharpness of death:

thou didst open the Kingdom of Heaven to all believers.

 

Thou sittest at the right hand of God: in the glory of the Father.
We believe that thou shalt come: to be our Judge.